독자들은 정수론은 잘 모르더라도 포함-배제의 원리는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을 것이다. 

포함-배제의 원리는 애초에 교육과정의 경우의 수 세는 문제에서도 매우 많이 등장하며, "mainstream CP/PS"에서도 꽤 등장하기 때문이다.

이 파트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mobius function/inversion이 포함-배제와 다를 게 없다는 것이다. 

(사실, 이 사실은 제곱 ㄴㄴ 문제를 해결한 사람이라면 이미 느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. 여기서 더 자세하게 보자.)


이제부터 포함-배제의 원리 이야기로 넘어간다. 

  • 포함-배제의 원리의 가장 익숙한 형태는, 유한집합 $A_1, A_2, \cdots ,A_n$에 대하여 $$\displaystyle |\cup_{i} A_i| = \sum_{i} |A_i| - \sum_{i< j} |A_i \cap A_j| + \sum_{i < j < k} |A_i \cap A_j \cap A_k| - \cdots  + (-1)^{n-1} | A_1 \cap A_2 \cap \cdots \cap A_n|$$이 성립한다는 명제일 것이다. 특히 $n=2, 3$인 경우는 고등학교 수학. 
  • 위 식을 이해하는 방법은 다양할 것이다.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"원소별 기여"를 보는 것이다.
  • $x \in \cup_i A_i$를 아무거나 하나 잡자. 이 원소는 $A_1, \cdots , A_n$ 중 정확히 $k$개의 집합에 속한다고 하자. 물론, $1 \le k \le n$.
  • $x$의 존재로 위 식의 좌변은 $1$만큼 커진다. 그러니, $x$가 우변에 "기여하는 값"이 $1$임을 증명하면 충분하다.
  • $\sum_i |A_i|$에 $x$가 기여하는 횟수는 $k$번, $\sum_{i < j} |A_i \cap A_j|$에 기여하는 횟수는 $x$가 $A_i, A_j$ 각각에 속해야 하므로 $\displaystyle \binom{k}{2}$번.
  • 이제 느낌을 알 것 같다. $x$가 우변에 기여하는 총 값은 $\displaystyle \sum_{i=1}^n (-1)^{i-1} \binom{k}{i}$이다. 단, $n < m$면 $\displaystyle \binom{n}{m} = 0$이라 정의한다.
  • 그런데 이항정리에서 $\displaystyle \sum_{i=0}^n (-1)^i \binom{k}{i} = \sum_{i=0}^k (-1)^i \binom{k}{i} = (1-1)^k =  0$이다. 이를 통해서, $x$가 기여하는 값이 $1$임을 얻는다.


이제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하자. 내용은 이 글을 따라간다.

  • 포함-배제의 원리의 다른 형태를 소개한다. 전체집합 $U$가 유한집합이라 하자. $U$의 각 부분집합 $S$에 대하여 값 $f(S) \in \mathbb{R}$을 주자. 
  • 이제 $U$의 각 부분집합 $A$에 대하여 $g(A) = \sum_{S \subset A} f(S)$를 정의하자. 우리의 목표는 $g$의 값을 가지고 $f$의 값을 복원하는 것이다.
  • 이때, $f(A) = \sum_{S \subset A} (-1)^{|A|-|S|} g(S)$가 성립한다. 이를 위와 똑같은 방법으로 증명해보자.
  • 우변은 $\sum_{S \subset A} (-1)^{|A|-|S|} \sum_{T \subset S} f(T) = \sum_{T \subset S \subset A} (-1)^{|A|-|S|} f(T)$다. 이제 $f(T)$가 "기여하는 값"을 생각해보자. 
  • $T = A$인 경우, $\sum_{A \subset S \subset A} (-1)^{|A|-|S|} = (-1)^0 = 1$이다. 그러니 우변에 $f(A)$라는 값이 추가된다.
  • $T \subsetneq A$인 경우, $\sum_{T \subset S \subset A} (-1)^{|A|-|S|}$를 계산해보자. $|A|=m+n$, $|T|=m$이라고 하면, $T \subset S \subset A$를 만족하는 크기 $m+k$의 집합 $S$는 총 $\displaystyle \binom{n}{k}$개 존재할 것이다. 그러므로, $\displaystyle \sum_{T \subset S \subset A} (-1)^{|A|-|S|} = \sum_{k=0}^n \binom{n}{k} \cdot (-1)^{n-k} = (1-1)^n = 0$이다. 여기서 $n \neq 0$이 사용되었다. 이는 $f(T)$가 사실 우변에 없음을 (0이 곱해져서 더해짐을) 의미한다. 그러니 사실 우변을 정리하면 남는 것은 $f(A)$ 뿐이며, 증명 끝.


위 "새로운 형태"는 포함-배제 느낌이 나지만, 뭔가 갑갑함을 느끼는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.

  •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로 돌아가서, $A_1, A_2, \cdots , A_n$이란 유한집합이 있다고 가정하자.
  • 이제 다른 형태로 간다. $U = \{1, 2, \cdots , n\}$이라 하자. 각 $U$의 부분집합 $S$에 대해, $f(S)$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  • $f(U) = 0$이다. 만약 $S$가 $U$가 아니라면, $f(S)$는 "속하는 집합의 index 모음이 정확히 $U - S$인 원소의 개수"다.
  • 이게 무슨 뜻이냐? $n=3$이라 하자. $f(\{1\})$은, 정확히 $A_2, A_3$에만 속하는 원소의 개수, 즉 $|A_1^C \cap A_2 \cap A_3|$이다.
  • 이제 $g(A)$를 "포함-배제의 새로운 형태"에서 다룬 방식으로 정의하고, $0 = f(U) = \sum_{S \subset U} (-1)^{|U|-|S|} g(S)$라는 식을 써보자.
  • 이 식이 우리에게 익숙한 포함-배제의 형태와 동치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. 좋은 Exercise이며, CP/PS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연습이다.
  • 힌트를 주자면, $g(A)$는 "속하는 집합의 index 모음이 $U-A$를 포함하는 원소의 개수"다. 앞서 다룬 $n=3$ 예시에서 $g(\{1\}) = |A_2 \cap A_3|$다.
  • 특히, $g(U) = |\cup_i A_i|$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. 이제 식을 전부 대입하고 약간의 고민을 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것이다.


이제 집합 $X$에 대하여 $\mu(X) = (-1)^{|X|}$라 정의하자.

  • 우리의 결론은 $g(A) = \sum_{S \subset A} f(S)$면, $f(A) = \sum_{S \subset A} (-1)^{|A|-|S|} g(S) = \sum_{S \subset A} \mu(A-S) g(S)$이 성립한다는 것이다.
  • $\mu$를 정의한 상태에서, "새로운 형태"에 대한 증명을 다시 보자. 증명의 핵심은 $$\sum_{T \subset S \subset A} (-1)^{|A|-|S|} = 0 $$이 $T \subsetneq A$일 때 성립함을 보인 것이다. $(-1)^{|A|-|S|} = \mu(A-S)$이고, $T \subset S \subset A$는 $A-S \subset A-T$와 동치이므로, 이 결과는 사실 $$ \sum_{X \subset (A-T)} \mu(X) = 0$$과 같다. 특히, $T \subsetneq A$이므로 $A-T$는 nonempty다. 결과적으로, 증명의 핵심은 모든 nonempty가 아닌 집합 $U$에 대하여 $$\sum_{X \subset U} \mu(X) = 0$$인 것이다. 한편, $U$가 공집합일 때는 좌변의 값이 $1$임 역시 자명하다.


집합이 아니라, 중복 원소가 허용되는 multiset이라면 어떻게 될까? 이때는 $\mu$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.

  • $X$가 중복 원소를 갖는 multiset이라면, $\mu(X) = 0$.
  • $X$가 중복 원소를 가지지 않는다면, 기존의 경우와 같이 $\mu(X) = (-1)^{|X|}$.

이제 여전히 $g(A) = \sum_{S \subset A} f(S)$이면, $f(A) = \sum_{S \subset A} \mu(A-S) g(S)$임을 보이자.

  • 증명의 핵심만 보이면 충분하다. 즉, $\sum_{X \subset U} \mu(X) = 0$인 것만 보이면 충분하다. (물론, $U$가 공집합이면 $1$)
  • $U$의 부분 multiset 중 중복 원소가 존재하는 것은 좌변에 기여하지 않는다. 그러니 좌변에 기여하는 것은 중복 원소가 없는 경우 뿐.
  • 그러니 단순히 $U$에서 중복 원소를 제거한 집합을 보고, 기존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면 증명이 끝난다. 


이제 정수론에서의 mobius function을 이야기 할 수 있다. 

  • 자연수 $n$을 소인수분해하여, $p_1^{e_1} p_2^{e_2} \cdots p_k^{e_k}$라 쓰자. 이제 $n$을 multiset $\{p_1, \cdots , p_1, p_2, \cdots , p_2, \cdots p_k \}$로 대응시킨다. 단, $p_i$는 $e_i$번 등장.
  • 이제 "집합의 포함 관계"는 "자연수의 나누어떨어짐 관계"로 대응이 되며, mobius function 역시 그대로 대응된다. 
  • $\sum_{d|n} \mu(d) = [n=1]$ 역시 $\sum_{S \subset A} \mu(S) = [A = \emptyset] $과 그대로 대응된다.
  • 그러니 포함-배제와 mobius inversion, mobius function에 관한 문제풀이는 다를 것이 없다. 
  • 즉, 독자가 포함-배제에 관해서 가지고 있는 문제풀이 아이디어, 전략이나 팁들 대부분이 이번 7단원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.


잠깐 정수론과 무관한 이야기.

  • $g(A)$의 값이 주어졌을 때 $f(A)$의 값을 전부 구하는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자.
  • 순서대로 $f(A) = g(A) - \sum_{S \subsetneq A} f(S)$를 적용했다면, subset을 전부 iterate 해야하므로 $\mathcal{O}(3^n)$의 시간이 걸린다.
  • 하지만 $f(A) = \sum_{S \subseteq A} (-1)^{|A|-|S|} g(S)$임을 이용하면, $(-1)^{|A|} f(A) = \sum_{S \subseteq A} (-1)^{|S|} g(S)$임을 얻는다.
  • 이제 SOS DP를 이용하여 $f$ 전부를 $\mathcal{O}(2^n n)$ 시간에 계산할 수 있다. 시간 절약하기 좋은 테크닉.  


이제부터는 문제풀이에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이야기.

  • "나누어떨어짐 관계" $a|b$와 "포함 관계" $S \subset A$ 사이에는 무언가 비슷한 점이 있는 것 같다.
  • $a|a$이며, $a|b$, $b|a$면 $a=b$ (자연수 기준), $a|b$, $b|c$면 $a|c$가 성립한다.
  • $S \subset S$이며, $S \subset T$, $T \subset S$면 $S = T$, $S \subset T$, $T \subset U$면 $S \subset U$가 성립한다.
  •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relation을 partial order라고 한다. mobius function은 이러한 partial order를 갖는 poset에서 전부 정의할 수 있다.